![]() |
↑ 고려대 이지원 교수 |
연구팀은 피하 또는 심부에 암이 이식된 동물 모델을 이용해 SPAuNC의 암 세포 표적 지향기능, 교류 자기장 내에서 자기공명영상(MRI) 조영 효능 및 자기온열 암 치료 효능을 밝혀 암 동시 진단·치료용 약물로서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이지원 교수는 "개발된 신규 물질은 다양한 암 세포의 표면에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EGFR 수용체에 대해 강력한 표적기능을 갖는 특정 펩타이드가 고밀도로 표출된 단백질 나노입자를 금 나노입자 클러스터의 합성 지지체로 활용했다"며 "해당 펩타이드는 암 세포 종류에 따라 다른 표적능 펩타이드로 쉽게 교체될 수 있어 암 종류에 따른 맞춤형 동시 진단·치료가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SPAuNC는 체내 진단·치료 기능 수행 후 개별 초미세 금 나노입자로 자발적으로 해체돼 소변을 통해 체외로 쉽게 배출된다"면서 "이는 기존 금 나노입자의 임상 적용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던 체내 축적에 의한 부작용 및 독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탁월한 생체적합성을 의미해 향후
이번 연구 논문은 7월 25일 첨단재료 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Impact factor: 19.791)'에 게재됐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