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서동완 교수가 내시경초음파 췌장 낭성종양 제거술을 시행하고 있다. |
특히 췌장 일부를 수술로 잘라내면 당뇨, 소화기능 장애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데 반해, 이 치료법은 물혹만 제거하기 때문에 당뇨가 생기지 않고 수술로 인한 다른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도 줄어든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서동완 교수팀은 내시경초음파로 췌장 낭성종양 환자 158명을 치료한 후 평균 6년 동안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총 141명(89.2%)의 환자에게서 종양이 없어지거나 꾸준히 관찰만 해도 될 정도로 크게 줄었다고 28일 밝혔다.
서 교수팀이 2005년 국내에서 처음 시행한 이 시술법은 입 안으로 내시경초음파를 넣어 췌장 낭성종양에 미세한 침을 꽂아 안에 들어있는 물을 빼낸 후 에탄올을 넣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소량의 항암제까지 집어넣어 낭성종양 세포를 괴사시키는 방법이다. 수술로 췌장 일부분을 잘라내 낭성종양을 제거하면 환자의 몸에서 췌장이 자신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해 혈당조절 기능이 떨어지고 소화도 잘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당뇨병, 소화기능 장애 등의 합병증이 약 30%의 비율로 발생한다.
하지만 내시경초음파로 시술하면 췌장을 잘라내지 않기 때문에 췌장기능이 유지돼 당뇨가 생기지 않고, 흉터가 남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복하는 시간도 매우 빨라 시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이 유지된다. 또한 재발하더라도 재시술이 가능하다.
서동완 교수팀은 내시경초음파 췌장 낭성종양 제거술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2005년 7월 이후에 췌장낭성종양 내시경초음파 제거술을 시행한 환자 중 158명을 최소 50개월에서 최대 85개월 동안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했다.
환자 114명(72.1%)에게서는 종양이 완전히 없어졌고 27명(17.1%)은 추적 관찰만 해도 될 만큼 종양 크기가 줄어들어 총 141명(89.2%), 즉 췌장 낭성종양 환자 10명 중 9명에게서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시경초음파 시술법으로 췌장 낭성종양이 완전히 없어진 114명을 평균 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단 2명에게서만 췌장 낭성종양이 재발했으며 모두 양성이었다.
나아가 초음파내시경으로 췌장 낭성종양 제거술을 받은 158명의 환자 중에서 16명(10.1%)의 환자에게서만 합병증이 발생해 기존 수술법에 비해 합병증 발생 위험이 약 3분의 1로 줄어들었으며, 그 중에서도 15명은 가벼운 복통 등 증상이 매우 경미하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회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동완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해 췌장 낭성종양을 제거하면 췌장을 잘라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술 후에도 췌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해 당뇨병 등 합병증 위험이 크게 줄어들고, 흉터가 남지 않아 회복 속도가 매우 빨라 환자 만족도가 높다"며 "비록 이번 연구는 췌장 낭성종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5~6cm인 경우로 한정됐지만, 앞으로 지속적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저널인 '유럽소화기내시경학회지(Endoscopy)'에 최근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