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신인식 교수(왼쪽에서 두번째)와 모바일 플러스 개발 연구팀이 여러 스마트 기기에서 앱을 공유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
26일 KAIST(총장 신성철)는 신인식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 기기 간의 앱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기술 '모바일 플러스(Mobile Plus)'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스마트 기기 사용이 늘면서 개인이 보유한 단말기 종류와 개수가 많아진 점을 고려한 것이다.
기존에는 여러 기기에서 앱 기능을 공유하려면 아예 새로운 통합 앱을 개발해야만 했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마다 개발 부담이 컸고, 로그인이나 결제 서비스 등은 공유 자체가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모바일 플러스로 해결했다. 여러 기기에서 각각 실행되는 앱들이 마치 하나의 기기에서 실행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 것이다. 앱이 같은 기기 내 다른 앱의 기능을 호출하는 '원격 함수 호출' 메커니즘을 기기가 여러 개일 때도 적용될 수 있도록 확장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하나의 기기로는 불가능하던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 공공 장소에 비치된 스마트기기를 이용할 때 해킹 우려 없이 본인 소유의 스마트폰에 로그인해 사용할 수 있다. 또 자녀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게임 아이템, 쇼핑 품목을 결제할 때 부모의 스마트폰에 결제창이 뜨게 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를 하나의 기기에서만 가능케 해 자녀의 충동 쇼핑을 제한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첨부파일을 USB 저장장치나 클라우드에 옮기는 과정 없이 곧바로 다른 기기에서 열어볼 수도 있다.
신 교수는 "모바일 플러스 기술은 스마트홈, 스마트카 기술 등과 함께 시너지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스마트폰을 허브
[김윤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