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료 제공 = 삼성서울병원] |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조비룡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유경훈 전공의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2013년 현재 당뇨병 치료제를 처방받고 있는 환자 4만3283명에 대한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삼성서울병원은 19일 밝혔다.
당화혈색소는 적혈구 내 산소 운반에 중요한 단백질인 혈색소에 포도당 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말한다. 이를 검사하면 3개월동안의 평균혈당을 알 수 있다. 검사 당시의 혈당만 측정되는 일반 혈당검사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조사 대상 중 1년에 1회 이상 당화혈색소 검사를 받는 비율은 67.3%에 불과했다. 선진국의 경우 연간 1회 이상 검사하는 비율이 최대 9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1년에 두 번 이상 당화혈색소 검사를 받은 환자 비율은 37.8%, 4회 이상은 6.1%로 각각 집계됐다. 1년에 4번 이상 당화혈색소 검사를 받으라는 국내 권고사항을 지키는 환자가 100명 중 6명에 불과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농촌 인구가 많이 포함된 지방이 상대적으로 당화혈색소 검사 시행률이 낮았다. 도서 지역에 사는 농촌 가구가 많은 전남·전북 지역은 연간 1회 이상 검사 비율이 각각 59.6%·60.6%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농어촌 지역의 1차 의료기관은 당화혈색소 검사를 진행할 인력과 검체를 분석할 시설이 모자른 탓이라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신동욱 교수는 "제대로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당화혈색소 검사와 연 1회 미세단백뇨, 안저검사등 합병증 검사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연구과제 책임자인 조비룡 교수는 "1차의료기관이 만성질환의 관리를 위한 시설과 인력 갖추고,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필수검사 비용에 대한 부담을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의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당뇨병 연구 및 임상의학회지(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최신호에 게재됐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