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를 먹은 어린이가 신장 손상 등을 일으키는 용혈성요독증후군(HUS·일명 햄버거병)에 걸렸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햄버거 공포증(햄버거포비아)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17일 인공지능(AI) 기반 빅데이터 분석업체 다음소프트의 분석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 4일까지 빅데이터(블로그 3억6569만건·트위터 76억8881만건·뉴스 243만건)상 햄버거에 대한 긍정적 언급량(85%)은 부정적 언급량(15%)보다 훨씬 많다.
그러나 햄버거병 논란이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 5일부터 13일까지 약 1주일간 빅데이터(블로그 231만건·트위터 9955건·뉴스 21만건)상 햄버거를 긍정적으로 언급하는 비율은 59%로 떨어졌고 부정적 언급 비율은 41%까지 치솟았다.
일반인에게 생소한 햄버거병 언급량도 올해 상반기까지 거의 없다가 5일 623건, 6일 1687건으로 폭증했고 13일에는 3693건까지 늘어난 상태다.
햄버거병 논란 이후 사람들 사이 햄버거를 꺼리는 이유도 확연히 달라졌다.과거 가격 측면에서 햄버거에 대한 단점이 부각됐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불안감과 공포로 인해 부정적 인식이 확산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2015년부터 지난 4일까지 햄버거에 대한 부정적 감성어 가운데 매년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좋아하지 않는다'(2016년 기준 4237건)와 '비싸다'(3911건)였다.
그러나 지난 5일 이후 약 일주일간 햄버거 관련 부정 감성어 중 가장 언급량이 많은 단어는 '손상되다'(509건)다. 이어 '논란'(325건), '감염되다'(325건) 등의 단어도 햄버거 연관어에 등장
햄버거병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집단은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인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소프트가 지난 5일 이후 햄버거병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언급량이 가장 많은 연관어는 대장균(443건)이었으며 식품(414건), 증상(341건) 등이 뒤를 이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