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본격적으로 업무에 들어가면서 문재인 정부 핵심 서민공약인 통신비 인하 정책도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르면 이달중 미래부는 고시 개정을 거쳐 이동통신사에 선택약정할인율 상향을 통보할 계획이다. 가계통신비 부담은 줄어들겠지만 이 과정에서 서민들 통신 서비스로 어렵게 자리 잡은 알뜰폰 업계 타격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통신비 인하정책을 바라보는 알뜰폰 업계 시선은 미묘하다. 일단 수혜를 보는 측면이 크다. 정부가 전파사용료 감면을 내년 9월 30일까지 1년 연장함에 따라 연간 300억원 규모 세금을 면제받게 됐다. 지난 2012년부터 알뜰폰업체들은 전파사용료를 면제받아왔는데 오는 9월말 감면제도가 일몰을 앞두고 있었다. 또 한가지 숙제가 LTE 도매대가 인하인데, 이것도 성사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알뜰폰 업체들 주요 상품은 2·3G(2·3세대) 서비스다. 이동통신사에서 통신망을 빌려쓰는 가격이 LTE보다 20% 가량 더 싸기 때문이다. 알똘폰 LTE 시장 점유율이 3.5%에 불과한 이유이기도 한다. 이에 정부는 알뜰폰 업체들이 이통 3사 LTE 망을 빌려쓰는 대가를 기존 가입자당 매출(ARPU)의 45%에서 35%로 10%포인트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이렇게 되면 지금보다 기존 이통사 상품보다 20~30% 더 싼 LTE 요금제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가격경쟁력으로 승부하는 알뜰폰으로선 호재가 잇따르는 셈이다.
하지만 앞 날이 밝지만은 않다. 정부 압박으로 이통사 통신요금도 줄줄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당장 지난 상반기 알뜰폰에서 이통사로 갈아탄 고객들이 부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는 지난해 매달 7만~8만 명 가량 늘었지만 올해 들어서는 6만명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특히 이통사에서 알뜰폰으로 넘어오는 고객이 눈에 띄게 줄었다. 지난 2~3월만해도 이통사에서 알뜰폰으로 갈아탄 고객들이 알뜰폰에서 이통사로 빠져나가는 고객보다 2만 3000명 이상 많았지만 지난 6월에는 401명으로 쪼그라들었다.
게다가 내년 중 도입되는 보편적 요금제는 알뜰폰업계에 상당한 타격이 될 전망이다. 음성 200분, 데이터 1GB를 월 2만원대에 제공하는 보편적 요금제가 출시되면 현재 이통사들보다 1만~2만원 싼 요금제로 경쟁하던 알뜰폰업계 가격경쟁력은 무의미해진다. 실제 보편적 요금제와 비슷한 음성 200분, 데이터 1.5GB를 제공하는 CJ헬로비전 '헬로LTE42'만 해도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