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황금박쥐로 알려진 붉은박쥐의 유전체 해독을 마무리지었다. 멸종위기에 처한 붉은박쥐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유전적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특히 오래 사는 붉은박쥐의 유전변이는 인간의 장수 등을 연구하는 데도 기여할 전망이다.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게놈산업기술센터 연구진은 붉은박쥐의 게놈을 해독하고 다른 생물과의 비교분석을 마쳤다고 12일 밝혔다. 연구 내용은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5일자에 게재됐다.
붉은박쥐는 국내에 확인된 개체 수가 450~500마리밖에 되지 않는 희귀 생물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452호로 지정돼 있다. 연구진은 충북 단양 고수동굴에서 죽은 채 발견된 붉은박쥐를 이용해 DNA 시료를 얻고 게놈을 해독했다.
박쥐는 몸 크기 대비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사는 포유류인데 이번에도 긴 수명, 비행능력, 초음파 감각, 낮은 시력에 관한 유전자 변이가 확인됐다. 특히 붉은박쥐의 게놈에서는 박쥐 색깔과 맹독으로 알려진 '비소(As)'에 강한 특성 등에 관한 유전변이가 발견됐다. 붉은박쥐가 중금속으로 오염된 동굴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진화적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게놈 분석 결과 1~5만년 전 붉은박쥐가 속한 애기박쥐과 박쥐들의 개체 수가 급감했으며 특히 붉은박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주저자인 박영준 UNIST 생명과학과 연구원은 "박쥐의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인간의 등장으로 서식지가 파괴됐기 때문일 수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박쥐들의 감소 추세가 박쥐 전반적인 것인지, 그리고 박쥐의 감소를 어떻게 막을 수 있는지 밝히려면 추가적인 박쥐 게놈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종화 교수는 "박쥐는 생물학적으로 고래만큼이나 재미있는 동물이며,
이번 연구는 류덕영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과 함께 진행했으며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와도 협업했다.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