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는 심장에도 부담을 준다. 여름에 심장마비가 많은 이유는 폭염이 심혈관계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열을 받으면 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해 혈액이 피부근처 모세혈관으로 집중된다. 심장은 피부표면의 순환혈액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박동이 커지고 빨라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심장에 과도한 부담이 오게 되고, 평소 심장이 약한 사람이 폭염에 무리를 하면 위험한 상태에 빠지게 된다.
또한 휴가지에서 더위를 피하기 위해 갑자기 차가운 물에 들어가면 더운 날씨에 확장된 혈관이 갑자기 수축되면서 심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 심하면 심장마비가 일어날 수 있다.
심장마비는 기존에 심장질환 병력이 있거나 또는 없던 환자에게서 갑자기 심장기능이 멈추거나, 심장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고 경련하듯 가늘게 떨리기만 하는 심실세동이나 심실 빈맥과 같은 악성 부정맥이 발생한 상태를 포함하는 질환이다. 그 상태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면 사망까지 이르게 되며 증상이 발생한지 1시간 이내에 예기치 않게 사망하는 경우를 심장 돌연사로 정의하고 있다.
김광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심장병의 특성상 심혈관계 사망환자의 약 50%가 심장 돌연사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이들 환자의 절반가량에서 심장질환의 첫 증상이 심장마비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 및 보호자는 갑작스러움과 예상하지 못함이라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환자의 70% 이상은 심장마비가 발생하기 1시간에서 4주 전부터 전조증상이 발생한다. 대한심장학회가 밝힌 심장마비의 전조증상은 △수분 이상 지속하거나 왔다 갔다 하는 가슴 가운데 부분의 갑작스런 압박감, 충만감, 쥐어짜는 느낌이나 통증 △가슴 중앙부로부터 어깨, 목, 팔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