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중 칼륨수치가 높을수록 환자의 사망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체내 칼륨 수치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고칼륨혈증이 생길 수 있는데, 고칼륨혈증은 근육쇠약과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심할 경우에는 과도한 심장 흥분으로 심장마비와 심장정지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칼륨수치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환자의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칼륨수치가 매우 높은 수준이 아닌, 경미하게 높은 경우에는 환자의 건강 및 사망률 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특히 칼륨수치 증가가 병원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腎)손상에 미치는 연관성에 대해서도 그 관계를 밝힌 연구결과가 부재한 실정이었다. 급성 신손상은 신장세포가 손상을 받아 신장 기능이 갑자기 감소하는 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한 전체 환자의 5~10%에서 발생하는 흔한 질병이다. 신장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노폐물이 배설되지 않고 몸 안에 쌓이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투석위험은 물론, 사망률까지 높이는 위험한 질환이다.
이런 가운데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팀은 경미한 칼륨수치의 증가가 부정맥을 비롯한 급성 신손상의 발병 위험 및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2013년 한해 동안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신장기능지표 및 칼륨 검사를 시행한 입원환자 1만 7,777명을 대상으로 혈중 칼륨수치에 따라 급성 신손상과 부정맥, 그리고 환자의 사망률에 미치는 위험성을 분석한 결과, 고칼륨혈증(>5.5mmol/L)인 경우에는 급성 신손상 발병위험이 3.6배, 부정맥 발병 위험 역시 4.8배, 입원 30일내 사망률이 4배, 1년 장기사망률 역시 2.1배 높아졌음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특히 급성 신손상이 발병할 위험은 칼륨수치가 4.1mmol/L이상에서부터 유의하게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통 우리 몸속 칼륨 수치의 정상치는 혈청 칼륨 수치 3.5~5.5mmol/L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연구팀은 3.6~4.0mmol/L를 기준으로 칼륨 수치가 높아질수록 질환의 발병 위험성과 사망률의 위험성이 어떻게 증가하는지 비교 분석했다.
김세중 교수는 "고칼륨혈증은 입원환자의 급성 신손상, 부정맥뿐만 아니라 단기 및 장기 사망률을 2~4배 이상 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더욱이 칼륨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더라도 4.1mmol/L를 넘으면서 부터는 급성 신손상 발병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심부전, 당뇨병, 만성콩팥병, 빈혈 등과 같은 급성 신손상의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라면 칼륨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세중 교수는 이어 "고칼륨혈증이 건강에 미치는 위험성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었지만, 칼륨 수치가 어느 수준까지 안전한지,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합병증이나 사망률의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