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 [사진 제공 : 삼성전자] |
삼성전자는 4일 평택 반도체 단지에서 제품 출하식을 갖고 최첨단 3차원 V낸드 양산을 시작했다.
이날 출하식에는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김기남 반도체총괄 사장, DS부문 각 사업부장 등 주요 경영진과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했다. 권 부회장은 격려사를 통해 "평택 반도체 단지는 삼성전자 반도체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도전"이라며 "그 첫 도전을 성공적으로 준비해 준 임직원과 협력사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평택 반도체 라인은 단일 라인 기준 세계 최대 규모다. 2015년 5월 착공해 2년 만에 완공됐다. 건설현장에 투입된 일 평균 근로자는 1만2000여명에 달했다.
평택 반도체 라인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최첨단 4세대 64단 V낸드 제품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가동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생산설비 확충을 통해 메모리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최근 반도체 시장은 최첨단 제품의 수요 확대로 인해 수급불균형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국내외 생산 거점에 적극적인 투자를 추진해 수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우선 이번에 가동을 시작한 평택 1라인에 대한 증설에 나선다. 기존 투자금액 포함해 2021년까지 총 투자 규모가 30조원에 이른다. 삼성전자는 평택 뿐만 아니라 화성사업장에도 6조원을 투입, EUV 등 첨단 인프라에 최적화된 신규라인을 확보해 미래 반도체 시장을 준비한다. 이럴 경우 2021년까지 생산유발효과 163조원, 고용유발효과 44만명의 추가 효과가 기대된다.
또 중국 시안에도 반도체 라인 추가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완공된 시안 반도체 라인은 현재 100% 가동중이다. 중국은 낸드 플래시의 최대 수요처다.
아울러 삼성전자의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지역에 OLED 신규단지 인프라 건설을 검토 중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2018년까지 아산 2단지 건설에 착수하기로 한 충청남도와의 단지건설 협약을 준수하고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부지 및 인프라 시설 투자를
삼성 측은 "이번 대규모 투자를 통해 경기도 기흥·화성·평택과 충청도 아산에 이르는 첨단 부품 클러스터 구축으로 국내 장비·소재 산업과의 동반성장은 물론 후방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R&D 및 서비스 등 고급 기술인력 수요도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