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브릿지바이오가 손잡고 글로벌 신약개발에 도전한다. 국내 연구중심의 1세대 바이오텍과 NRDO(No Research & Development Only) 모델로 주목받았던 개발전문 신규 바이오텍의 새로운 협업 사례다. 레고켐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신규 오토택신(Autotaxin) 저해 신약후보물질 'LCB17-0877' 과 이의 백업물질에 대한 글로벌 전용실시권을 브릿지바이오에 양도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오토택신은 섬유증, 자가면역질환, 종양 등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효소의 일종이다. 브릿지바이오는 일단 이 후보물질로 전임상 개발을 위한 추가 평가를 한 뒤, 두 회사가 합의한 기준을 달성할 경우 본격적인 전임상 및 임상을 진행한다. 이후 모든 개발은 브릿지바이오가 독자적으로 진행하며, 레고켐바이오는 백업물질을 개발할 예정이다.
레고켐바이오는 선수금 20억원을 포함해 개발 단계에 따라 최대 300억원의 기술이전료 및 별도의 경상로열티를 지급받을 수 있다. 브릿지바이오가 개발 중간 단계에서 제3자 대상 기술이전을 하는 경우, 사전 합의된 비율대로 수익을 분배할 예정이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는 "국내 대표적인 연구개발 바이오텍인 레고켐바이오가 발굴한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할 수 있어 뜻깊다"면서 "국내 바이오텍과 바이오텍이 협력해 글로벌 개발을 추진하게 되어 기쁘고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김용주 레고켐바이오 대표는 "국내 제약사들나 바이오텍들은 글로벌 수준의 연구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개발분야
[신찬옥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