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홍덕 책임연구원 |
엄홍덕 한국원자력의학원 책임연구원과 같은 연구소 김은미 박사 공동 연구진은 암세포 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 결합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암 전이와 재발이 촉진됨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두 번째 암'으로 불리는 전이암과 재발암은 치료 방법이 제한적이며 치료효과도 낮은 경우가 많다. 최근 5년간 암 환자 생존율이 70.3%로 높아졌지만 암이 전이됐을 경우 생존율을 20.5%에 불과하다. 암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돼 왔지만 전이암과 재발암의 경우 예측이 어렵고 발생 원리에 대한 규명도 부족해 극복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암세포 내에 존재하는 'p53'과 'p21' 단백질 결합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암의 전이와 재발이 촉진됨을 찾아냈다. p53은 대표적인 암 억제 단백질이며 p21은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연구진은 암 세포와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세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p53과 p21이 서로 결합체를 형성하고, 이 결합체가 암의 전이 및 재발 촉진인자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암 전이와 방사선치료 후의 암 재발을 막는 것을 확인했다. 엄홍덕 책임연구원은 "이러한 결과를 폐암, 대장암, 신경아세포종 등 다양한 암세포에서 확인했다"며 "p53/p21 결합체의 암 전이 및 재발 억제 작용이 특정 암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암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적 현상임을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진은 많은 환자들의 암세포에서 p53/p21 단백질 결합체의 기능이 소실되어 있기 때문에 암 전이와 재발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암 전이와 재발 예측은 물론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엄홍덕 책임연구원은 "p21 단백질의 소실이 방광암, 폐암, 식도암, 위암, 림프종을 포함한 거의 대다수의 암 종에서 보고되었고 p53/p21 단백질 결합체 상실이 암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