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천달러대에 머물렀습니다.
또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8%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천561달러(3천198만4천원)으로 전년(2만7천171달러)보다 1.4%(390달러) 늘었습니다.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소폭으로 늘었지만 또다시 3만달러 달성은 무산됐습니다.
이로써 2006년 2만795달러로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하고 나서 10년째 3만 달러 고지를 밟지 못했습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입니다.
보통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그동안 1인당 GNI 3만 달러는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기준으로 인식돼왔습니다.
그러나 잠재성장률 하락 등 성장세가 약화되면서 3만 달러 진입이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여기에 환율의 영향도 1인당 GNI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줬습니다.
작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160.4원으로 전년보다 2.9%(28.9원) 상승했습니다.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달러화 환산 규모가 줄어든 것입니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천632달러로 2015년(1만5천487달러)보다 0.9%(145달러) 늘었습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지표로 꼽힙니다.
한은은 지난해 GDP 성장률 잠정치를 2.8%로 발표했습니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0.1% 포인트 상향조정됐습니다.
2015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잠정치보다 0.2% 포인트 높은 2.8%로 집계됐습니다.
GDP 성장률은 2011년 3.7%에서 2012년 2.3%로 크게 낮아진 뒤 2013년 2.9%, 2014년 3.3%로 올랐지만 2015년부터 2년 연속 2.8%에 그쳤습니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조6천374억원으로 2015년보다 4.7%(733억원) 늘었습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8%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올랐습니다.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입니
가계,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이 소득으로 지출하고 남은 돈이 많이 늘었다는 의미입니다.
가계순저축률은 8.1%로 2015년과 같은 수준이고 국내 총투자율은 29.3%로 0.4% 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가장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2010=100)는 1.8% 올랐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