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농가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청탁금지법(김영란법) 시행으로 가뜩이나 줄어든 한우 소비가 전북 정읍의 한우 농장에서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더욱 줄어들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충북 보은에 이어 6일 신고된 전북 정읍 한우 농가도 구제역으로 최종 확진됐다. 바이러스 유형은 보은과 마찬가지로 혈청형 'O형'이다.
구제역까지 발생하면서 한우농가는 '엎친데 덮친격'이 됐다. 이미 김영란법 여파로 한우가격이 떨어지면서 소비가 급격히 위축돼 어려운 상황인데 앞으로 소비가 더 줄어들 수 있어서다.
한 경제부처 관계자는 "조류 인플루엔자(AI)가 확산되자 '익혀 먹으면 문제 없다'고 아무리 홍보해도 닭고기 소비가 크게 줄었다"며 "국민 불안 탓에 올 1월 닭고기 값이 한해 전보다 4.3%나 하락했다"고 말했다.
그는 "쇠고기는 수입 물량이 60% 이상이라 전체적인 가격에는 영향이 크지 않겠지만 국산 소고기(한우) 값은 구제역이 확산되고 살처분하는 한우가 많아지면 가격이 변동할 수 있다"며 "구제역도 소비 심리에 당연히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한우 소비가 타격을 입어 가격이 약세로 하락한 현실에서 구제역 파동은 한우 등 축산산업에 더 충격을 줄 수 있다. 축산업계 관계자는 "청탁금지법 시행이후 한우 가격이 하락하고 국내산 쇠고기 자급률이 처음으로 30%대로(37.7%) 떨어진 가운데 이번 구제역까지 재발해 한우농가들이 노심초사 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최근 들어 줄어든 한우 소비를 수입산이 급속하게 대체하고 있는 점도 문제다. 지난해 한국 쇠고기 자급률은 40%대가 붕괴되면서 37.7%까지 내
[서동철 기자 / 김세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