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이 자체 개발한 고부가 플라스틱 소재(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CT)가 올해 출시될 양산차 커넥터에 적용된다고 30일 밝혔다.
SK케미칼은 지난 2012년 세계에서 두번째로 PCT(폴리시클로 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상업 생산하는데 성공했고 이번에 자동차 소재로 첫 투입하는 성과를 냈다.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CT는 공업용 재료 등으로 쓰이는 고강도·고내열 플라스틱이다.
SK케미칼 관계자는 "PCT 소재가 국내 완성차, 자동차부품 업체에 표준 소재로 등록됐다"며 "처음으로 이 소재가 차량용 커넥터 부품에 쓰이게 됐다"고 말했다.
커넥터는 전자 부품이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부품이다. 지금까지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A(폴리아미드) 같은 플라스틱 소재가 쓰였지만 고강도 PCT가 들어가며 제품 안정성이 더 높아지게 됐다.
통상 커넥터를 제조할 때는 납땜으로 플라스틱 회로 기판에 핀을 접합하는데 이때 섭씨 230~260도 열이 발생한다. 스카이퓨라는 녹는점이 285도 이상
[정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