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국제회계기준(IFRS) 적용이 의무화된 2010년 이후 최악의 연간·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장기파업이 겹친데다 지난해 4분기의 급격한 원화값 하락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현대차는 25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2016년 경영실적 발표회를 열고 지난해 영업이익이 5조1935억원으로 전년 보다 18.3%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0년 영업이익 5조9185억원 이후 가장 부진한 실적이다.
현대차 영업이익은 2012년 8조4369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4년 연속 꾸준히 줄었다. 이에 따라 한때 두자릿수에 달했던 영업이익률도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인 5.5%에 그쳤다. 이익은 줄었지만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 늘어난 93조6490억원을 기록했다. 원가가 높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고급차 등의 판매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4분기 실적에서도 현대차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2.6% 급감한 1조212억원에 그쳤다. 파업 여파가 이어진데다 시장 격화로 마케팅비 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해 11~12월 원화값이 빠르게 하락하면서 판매량 증가보다는 해외 판매보증충당금 등이 늘어난 것도 실적에 악영향을 줬다.
현대차는 이날 배당정책 기준을
[이승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