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자면 잘수록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 저하가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4일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정책학과 명승권 교수팀과 명지병원 가정의학과 김홍배 교수팀은 지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10편의 관찰역학 연구를 종합해 이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수면시간과 인지기능 저하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결과 하루 수면시간이 8~9시간 이상인 경우 7~8시간인 사람과 비교해 인지장애, 치매 위험성이 각각 38%, 42% 높아졌다.
성별, 지역별, 긴 수면시간 정도(8시간 이상, 9시간 이상, 10시간 이상), 나이, 연구의 질적 수준과 연구 디자인(환자-대조군연구, 코호트연구)별 세부그룹 분석에서도 긴 수면시간은 치매와 인지장애 같은 인지기능 감소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명승권 교수는 "그동안 잠을 너무 적게 자거나 너무 많이 자면치매와 같은 인지기능 감소의 위험성이 높다는 개별 관찰연구들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개별연구를 종합한 첫 연구로 긴 수면시간은 경도 인지장애와 치매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다만 생물학적 기전에서 잠을 오래 자면 염증 관련 생체지표가 증가할 수 있고 뇌에서 염증반응을 촉진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치매가 발병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명 교수는 "잠을 오래 자는 것은 인지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질병 때문이거나, 단순히 인지장애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작년 2월 미국의 국립수면재단은 나이에 따른 적정 수면시간을 새롭게 발표했다. 재단은 어린이 적정 수면시간을
[디지털뉴스국 신영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