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이지은·박진호 교수, 서울시 보라매병원 권형민 교수 |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은·박진호, 서울시보라매병원 신경과 권형민 교수팀은 서울대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2,326명의 뇌 MRI와 혈액검사 결과 등을 활용해 인슐린저항성과 열공성 뇌경색(뇌경색으로 변성된 뇌 조직)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열공성 뇌경색이 나타날 확률이 69%, 열공성 뇌경색 병변의 개수가 2개이상 다수로 발견될 확률이 76% 높았다고 28일 밝혔다.
인슐린저항성은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인 인슐린 기능이 떨어진 상태다. 주로 복부 비만이 있는 성인에게서 나타나며, 당뇨병과 같은 대사증후군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져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뇌졸중협회 공식학회지인 ‘뇌졸중 (Stroke)’ 최신호에 게재했다.
뇌경색은 뇌에 분포하는 혈관의 일부가 막혀 뇌기능의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신체마비,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아주 작은 혈관에 발생해 겉으로는 어떤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무증상 뇌경색’이라고 한다. 무증상 뇌경색은 대부분 뇌의 소혈관이 막혀 생기는 ‘열공성 뇌경색’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무증상 열공성 뇌경색 환자는 당장은 증상이 없어 건강해보이지만, 향후 뇌졸중, 치매 등이 갑작스레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권형민 교수는 “현재까지 고혈압과 당뇨병이 열공성 뇌경색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 의하면 인슐린저항성 자체가 뇌의 소혈관에 동맥경화를 일으켜 열공성 뇌경색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혈관은 동맥경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어하는 기능이 있다. 인슐린저항성이 높아지면 이 기능에 문제가 생겨 뇌 소혈관에 동맥경화가 발생해 열공성 뇌경색이 나타난다.
박진호 교수는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