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부진에 이어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까지 나오면서 CJ그룹주가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CJ그룹 계열 상장사 9곳의 전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20조 5261억원으로 지난해 말(25조 7026억원) 대비 20.14%(5조 1766억원) 감소했다.
다른 대기업 그룹과 비교해서도 CJ그룹 주가는 눈에 띌 정도다. CJ그룹은 15대 그룹의 올해 주가 성적표 중 가장 부진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현대중공업그룹주가 53.6% 오른 가운데 포스코(38.52%), 두산(22.12%), SK(12.48%) 그룹주도 강세를 보였다.
CJ 계열사 9곳 중 CJ대한통운을 제외한 8곳의 시총이 모두 쪼그라들었다. CJ프레시웨이(-53.07%), CJ CGV(-47.14%), CJ헬로비전(-36.52%), CJ(-32.67%), CJ오쇼핑(-17.89%), CJ E&M(-16.87%) 등이 연초 이후 동반 약세 흐름을 탔다.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내수 경기가 부진한 탓에 음식료, 유통, 엔터테인먼트 등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CJ 계열사 주가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탓이다. CJ헬로비전은 3분기 영업이익 238억원으로 시장 전망치(컨센서스)였던 265억원에 못미쳤다. 내주 3분기 실적발표를 할 CJ CGV와 CJ E&M 역시 영화 성수기 진입 속에서도 중국의 박스오피스와 주력 상영 작품 부진에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CJ의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인 3967억원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사드 배치 결정으로 중국 정부의 보복 조치가 이어질 것이란 우려에 중국 시장 의존도가 큰 CJ CGV 등 엔터테인먼트 관련 계열사 주가가 추가 조정을 겪었다.
CJ헬로비전 매각 실패, 총수의 장기 경영 공백 등 내부 악재도 그룹주 전반에 부담을 더했다. 최근에는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의 불똥이 튈까 봐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CJ그룹이 현 정부의 다양한 문화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최 씨 측근으로 ‘문화계 황태자’로 불린 차은택 씨의 입김이나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런 악재가 계속되는 동안 CJ 측도 주가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CJ는 2015년 8월 주가가 고점을 찍은 이후 경영권 승계 우려, 사드 배치, ‘최순실 게이트’ 의혹으로 주가가 50.1% 하락했다. 이 기간동안 CJ 자회사는 대체로 시장 기대치에 충족하는 실적을 지속적으로 냈다. 즉 외부적인 요인에 대한 시장 우려가 더 컸다는 분석이다.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실적으로 사드 배치와 비선실세 의혹 우려에 대해서 회사가 대응할 수 있는 카드는 많지 않았지만 막연한 경영권 승계에 대한 우려로 주가 하락이 극에 달할 땐 회사의 대응이 아쉬웠다”며 “시장의 오해가 있다면 적극적인 IR을 비롯한 기업가치 부양 노력이 필요했다”고 강조했다.
CJ는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CJ 주가는 지난 2일 장중 8.77% 급락하며 52주 신저가를 새로 쓰는 등 투자자들은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앞으로 벌어질 대외적인 경영환경도 CJ에 호의적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CJ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할 것을 권고했다.
윤태호 연구원은 “현 정부의 창조경제
[윤진호 기자 / 박윤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