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잘 노는 우리학교 만들기’ 개장식 [사진제공 = 손오공] |
지난 3월 손오공은 국제 구호개발 NGO 세이브더칠드런과 함께 학습 위주의 획일적인 학교 공간을 아이들이 잘 놀 수 있는 놀이 친화적인 공간으로 조성하는 ‘잘 노는 우리학교 만들기’ 사업에 참여했다. 손오공의 후원 대상은 경기 시흥초등학교로, 운동장 주변 스탠드에 다양한 형태의 목재 스탠드 놀이공간을 만들었다.
이후 아이들의 놀이 기회 증가가 정서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분석을 명우임상심리연구소에 의뢰했다. 해당 연구는 시흥초등학교 4, 6학년 학생 58명을 대상으로 주 1회 수업대신 1시간씩 마음껏 뛰어 논 그룹과 정상 수업을 한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조사, 집중면접, 뇌파 검사, 관찰, 인터뷰 등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학습태도△스트레스 대처능력△행복감 등 모든 주요 항목에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 결과 ‘놀이를 즐긴’ 실험군에 해당하는 아이들은 고차원적 사고를 담당하는 전두엽의 알파파 평균이 실험 전 ‘23.09(좌뇌), 24.93(우뇌)’에서 실험 후 ‘30.56(좌뇌), 30.71(우뇌)’로 늘었으며, 좌우 불균형 값도 줄어들었다. 전두엽은 인지, 사회 정서 발달에 주요한 역할을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스트레스 대처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 방법을 찾는 ‘적극적 행동대처’와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해 스트레스 상황을 이겨내는 ‘사회지지 추구적 행동 대처’도 각각 8%p(14.93→16.47점/총점 20점 기준), 10%p(12.07→14.13점/총점 20점 기준) 증가해 놀이가 갈등을 해결하는 기술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확인됐다.
손오공 김종완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