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는 횡방향 교통사고 발생시 옆좌석 승객과의 충돌을 최소화하는 ‘승객간 에어백’ 개발을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승객간 에어백’은 기본적으로 충돌지점 반대 쪽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횡방향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돌지점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탑승자는 커튼 에어백이나 사이드 에어백의 보호를 받을 수 있지만 옆 사람은 관성에 의해 동승자의 어깨나 머리, 혹은 좌석에 머리를 부딪혀 치명적인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런 사례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자 유럽의 차량안전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앤캡(Euro NCAP)은 2018년부터 승객간 에어백 장착을 강력히 권고한다고 지난 14년 밝힌 바 있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1350kg 대형차가 50km/h 속도로 차의 운전석 측면을 받았을 때, 충돌지점에서 먼 동승자가 머리에 받는 상해 정도 HIC(Head Injury Criterion)는 1700~1900으로 600~800인 운전자 머리상해에 비해 두세 배 가량 높았다. 유로 안전법규 기준인 HIC 1000은 두개골이 파열되는 정도의 중상에 해당한다.
현대모비스가 이번에 개발한 ‘승객간 에어백’은 같은 상황에서 동승자가 머리부분에 받는 상해를 HIC 300대로 80% 이상 뚝 떨어트린다. 운전석 우측에 장착된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가벼운 찰과상 정도의 충격만 받게 되는 것이다. 이는 유로 앤캡의 최고 안전 등급 기준인 HIC 500보다도 훨씬 낮고 글로벌 경쟁사보다도 더 안전한 수준이라고 모비스는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운전자와 동승자 간 충격에 대비한 ‘듀얼모드’와 함께 운전자 혼자 주행할 때의 측면 충돌 상황에 대비한 ‘싱글모드’에 대한 기술 개발 완료도 눈 앞에 두고 있다. 운전자가 혼자 주행을 하던 중이라도 오른편에서 강한 충돌이 일어나면, 관성에 의해 동승석 쪽으로 튕겨나가게 된다. 이때 치고 들어오는 충돌면에 머리를
현대모비스는 하나의 ‘승객간 에어백’ 모듈로 ‘싱글’과 ‘듀얼’ 두 가지 충돌 모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통합한 기술을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노원명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