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극소 미숙아에서 발생한 ‘동맥관 개존증’ 치료에서 기존의 약물 및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고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동맥관 개존증’을 성공적으로 치료했다는 연구결과가 국내 의료진에 의해 밝혀졌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원순·장윤실·성세인 교수팀은 초극소 미숙아에서 발생한 ‘동맥관 개존증’ 에 대해 기존의 약물적,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고도 미숙아에게 공급하는 수액을 일반적인 양보다 조금 줄이는 수액 제한 등의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동맥관 개존증’을 성공적으로 치료해 그 결과를 세계적인 소아과학 학술지(Journal of Pediatrics)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자궁 내 태아기에는 태아 혈액순환 유지를 위해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를 연결해주는 ‘동맥관’이라는 혈관이 있는데 건강한 만삭의 경우 출생 후 ‘태아 혈액순환’에서 ‘신생아 혈액순환’으로 전환되면서 닫히게 되지만 미숙아는 이러한 자연 폐쇄가 잘 일어나지 않아 동맥관이 출생 후에도 지속적으로 열려 있는 경우를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이라고 한다.
논문에 따르면 성세인 교수팀은 임신주수 23~26주에 입원한 초극소 미숙아 178명 대상으로 2009~11년 동안에 약물 및 수술적 치료를 한 미숙아(81명)와 2012~14년(97명) 동안에 보존적 치료를 받은 미숙아 그룹과 비교해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보존적 치료만으로 동맥관의 자연폐쇄를 유도했을 뿐만 아니라 장기 합병증의 빈도에서도 만성폐질환 발생 빈도를 46%에서 35%까지 줄이는 등의 성과를 이뤄냈으며 기존 시행해왔던 미숙아의 약물·수술 치료없이 동맥관 폐쇄를 가능하게 보여줘 ‘동맥관 개존증’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의미 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이 초극소 미숙아의 사망과 합병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간주되어 약물 치료 및 수술 치료를 시행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미숙아에서 이러한 인과관계가 명백히 입증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약물 및 수술적 치료에 의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동맥관의 자연패쇄를 기다리는 보존적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성세인 교수는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