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산업별 경쟁력 유지 가능 기간 (단위=연) 자료= 대한상공회의소. |
대한상공회의소는 1일 전국 71개 지역상의와 함께 전국 24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전체 49.9%가 “현 수익원이 사양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신속한 대응 없이는 한국 기업은 100년 기업은 커녕 100개월 기업에 그치고 말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체 업종별로 ‘환경변화에 대해 대처하지 않을 경우 생명력은 얼마나 유지될 것인가’란 질문에 대한 답변은 평균 8.4년에 머물렀다.
섬유산업이 15.9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정유 10년, 기계·철강 9년이었다. 상의는 “심각한 점은 한국의 대표 수출 산업인 자동차와 전자가 각각 8년과 6.5년에 불과하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해외에서 경쟁이 치열한 이들 업종일 수록 한국 기업들의 생존 연한이 짧아지고 있다는 얘기다.
상의에서는 “단기적인 대응에 급급해 중장기 변화를 외면하다가는 경쟁력을 잃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평했다.
그러나 설문조사에서는 한국 기업의 변화속도가 시장을 따라가지 못하는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한탄이 많았다. 예를 들어 고추냉이로 친환경 제품을 만드는 한 중소기업은 “제품 개발 후 얼마안되 일본 경쟁사가 화장품을 내놨고 유럽에선 화장품에 의약품 기능을 더한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내놓더라”고 토로했다. 전체 조사에서도 외국 기업의 변화속도를 100이라고 했을 때 우리의 적응 속도는 ‘74’에 머물고 있다고 답했다.
또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비교한 경영환경을 묻는 질문에는 노동시장유연성은 낮아지고 경쟁 강도는 더 높아졌으며 기업들에 요구되는 사회적 책임의 정도는 더 커졌다고 답변이 나왔다. 2008년과 비교해 기업 입장에서 나아진 것은 규제가 줄어들고 자금조달이 수월해졌다는 점 정도였다.
그러나 응답기업의 66%는 신기술 융합을 통해서 매출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관심을 갖고 있는 기술로는 대부분 산업에서 인공지능(AI)과 로봇을 꼽았다. 전자산업에서는 사물인터넷(IoT)를 꼽았다. 또 미래 유망산업에 대한 질문에는 에너지·환경을 택
[정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