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김영란법 합헌 결정으로 5만 원 이상의 선물을 주고받을 수 없게 되자 여기저기서 반발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농축수산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의 반발이 특히 거센데요.
김태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반도 차지 않은 한우 선물세트가 헌법재판소 입구에 등장했습니다.
5만 원 이하의 선물만 허용하는 김영란법에 따라 한우를 5만 원어치만 담은 겁니다.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된 농축수산업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홍기 / 한국농축산연합회 상임대표
- "손바닥만 한 소고기 한 근을 선물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이건 미풍양속으로 내려오는 전통문화입니다. 목숨을 걸고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여기에 왔어요."
농식품부는 김영란법이 시행되면 농축수산업계에서만 6조 5천억 원의 수요가 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영란법의 영향을 받는 대상자는 모두 4백만 명.
역시 대상이 되는 사립학교 임직원과 공직자, 언론계 등도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법 시행에 따른 혼란을 줄이고 어려운 경제를 감안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달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국회의원과 같은 선출직 공무원들에 대해선 부정청탁 금지 관련 조항이 적용되지 않아 일부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태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