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판 ‘루이뷔통’ 키우기에 적극 나선다. 내년 300억원 규모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해 생활용품 프리미엄화를 추진하는 한편, 2021년까지 2000억원을 들여 고부가가치 소재·제품 개발을 지원해 프리미엄급 패션·의류 브랜드를 육성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생활용품과 패션·의류 프리미엄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새로운 수출유망 품목으로 떠오른 소비재 분야를 육성해 수출부진을 돌파하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됐다. 이에 앞서 정부는 자동차, 전자, 철강 등 중후장대 제조업 위주였던 수출 주력산업 구조를 소비재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우선 정보기술(IT) 디자인(감성) 한류 열풍(문화) 등 융합요소를 반영해 7대 생활용품을 프리미엄급으로 성장시키기로 했다. 7대 생활용품은 가구, 가방, 주방용품, 문구, 운동 레저, 안경, 시계 등이다. 산업부는 내년 생활용품 프리미엄화 R&D에 올해(130억원)보다 2배 이상 늘어난 3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디자인 고급화를 위해 국내 기업과 유명 아티스트 간 협업을 내년에 2배 이상 확대하고, 중소·중견기업에 6개월 이상 장기로 디자이너를 파견하는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며 “인프라 확충, 대·중소기업 협력, 시니어 디자이너 자문단 운영 등 경쟁력 강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패션·의류에서도 △2020년까지 유망 디자이너 200명 육성 △신유통 플랫폼을 활용해 300개 이상 브랜드 해외 온라인몰 입점 △IT를 활용한 의류제조 시스템 보급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또 2021년까지 2000억원의 R&D 자금을 투입해 스포츠웨어, 스마트 의류, 안전보호복,
이관섭 산업부 차관은 “시가총액이 현대차보다 3배 가까이 되는 루이뷔통 그룹(LVMH)의 역사는 생활용품, 여행가방 제작과 함께 시작됐다”며 “생활용품과 패션·의류 산업이 새로운 수출동력이 될 수 있게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재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