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구본무 LG 회장 |
구본무 LG 회장은 5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7월 임원세미나에 참석, 브렉시트 등 최근의 경영 환경 변화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대응을 당부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구 회장은 이날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임원들에게 “최근 브렉시트 등으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가운데 세계경제 질서의 변화마저 감지되고 있다”며 대외 환경 변화를 예의주시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변화 속에서는 항상 기회가 수반되는 만큼 사업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뿐 아니라 중장기적 영향까지 면밀히 분석해 대응해 달라”고 강조했다.
브렉시트로 인해 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화학 등 해외매출 비중이 높은 주요 계열사들은 외환시장의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시나리오 별 사업전략을 수립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임원세미나에서는 서울공대 교수들의 한국 산업 미래를 위한 제언을 담은 저서 ‘축적의 시간’을 대표 집필한 이정동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가 ‘한국 산업의 미래를 열어가는 키워드 : 창조적 축적’이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한국 기업은 선진국에서 수입한 산업모델을 빠르게 벤치마킹해 급성장했지만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비롯해 원천기술과 핵심부품소재는 여전히 선진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장기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는 ‘뉴노멀’ 시대에서는 새로운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 등을 창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인 ‘
그는 또 창의적인 혁신은 현장에서 오랜 경험을 쌓아온 인재로부터 나온다면서 LG전자 소재생산기술원의 원장들이 길게는 10년 넘게 재직하며 연구를 이끌어온 것은 고급 경험지식 축적 관점의 좋은 예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