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손목 미세재건술 |
미세재건술은 손상된 뼈, 피부, 조직, 혈관 등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정교하게 복원시키는 수술법을 말한다.
26세 A씨는 교통사고로 팔목 뼈가 외부로 드러나는 개방성 골절을 입었다. 골절 수술 후에 손상된 조직을 재건하는 수술까지 받아야 한다는 소견에 낙담했다. A씨는 두 번 수술하지 않고 한 번에 수술을 끝낼 수 없을까 수소문 끝에 뼈와 조직을 동시에 재건하는 의사를 찾아 수술을 받았고 경과에 만족하고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미세재건팀 이재훈 교수가 지난 10년간(2006~2015) 미세재건술을 시행한 262건을 분석한 결과, 35.9%(94건)가 교통사고로 골절, 조직 손상 등을 입어 수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이 81.8%로 여성보다 약 4.5배 많았다. 경찰청 통계에 의하면 2014년 교통사고 중상자는 19만 4,955명으로 남성이 70.9%를 차지, 남성 중상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상의 경우 골절, 피부, 근육, 혈관 손상 등 복합적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종합적이고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의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이재훈 교수는 “교통사고로 인해 뼈가 외부로 드러나는 개방성 골절의 경우 골절 치료만 하고 연부 조직 치료를 남겨두면 뼈가 계속 노출돼 있어 결국 골수염으로 진행돼 환자를 평생 괴롭힐 수 있다”며 “뼈와 연부 조직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의사가 미세재건술을 시행하면 이점을 가질 수 있다”고 밝혔다.
교통사고로 개방성 골절을 입는 경우 골절 수술, 혈관 및 신경 복원, 노출된 피부를 덮는 피판술이 동시에 요구된다. 이 교수는 현미경을 보며 0.5mm 이하의 혈관을 봉합하는 미세재건을 시행한다. 머리카락이 0.1mm라고 볼 때 다섯 개를 겹쳐놓은 굵기의 혈관을 잇는다고 보면 된다. 혈관 봉합이 잘못되면 피가 통하지 않아 피부까지 죽게 돼 실패하기 때문에 이 교수는 99점짜리 수술은 없고 오로지 100점짜리 수술만 허용되는 영역이 미세재건술이라고 말한다. 또한 피판술은 끝까지 정교함을 요구하는데 이 교수는 보통 6시간 걸리는 수술을 4시간으로 2시간 줄여 수술 후 합병증을 감소시켰고 성공률도 98%에 이른다.
이 교수가 가장 오랫동안 수술한 환자는 14시간이 걸리기도 했다. 그만큼 미세재건술은 고도의 집중력과 끈기가 요구되는 분야로 최고 수준의 전문성이 요
이 교수는 “젊은 나이에 교통사고로 절망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많이 보게 된다”면서 “미세재건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최대한 손상 전 상태에 가깝게 복원시키고 있으며, 합병증은 낮아지고 회복 속도가 향상돼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다”고 밝혔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