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결혼과 출산으로 인해 계획 임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여성에게 요구되는 책임에 비해 남성에 대한 관리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신 전 관리를 목적으로 병원을 찾은 여성 중 남성 배우자가 함께 상담을 받은 비율은 5쌍중 1쌍에 불과하고 임신성공이라는 결과에 집착해 건강한 임신을 위한 과정이 생략되면서 남성 요인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의료재단 제일병원 비뇨기과 최진호 교수,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팀이 지난 2011~14년 제일병원에서 임신 전 관리를 목적으로 진료한 여성 2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중 23.5%(61명)의 배우자만이 임신 전 상담을 위해 비뇨기과를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1일 밝혔다.
비뇨기과 진료를 받은 남성들 중에서 정액검사 이상 소견은 2명중 1명꼴인 45.9%(28명)에서 확인됐고 비임균성 요도염 원인균 감염은 29.5%(18명), 남성 난임의 주요 원인인 정계정맥류는 18%(11명), 염색체 이상은 1.6%(1명)에서 진단됐다.
연구팀은 실제 진료를 받은 남성이 소수임을 감안할 때 병원을 찾지 않은 남성으로 범위를 넓힐 경우 건강한 임신을 저해하는 원인을 가진 남성이 훨씬 많을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정부가 지난 2013년 발표한 체외수정시술 난임 원인 분석 결과를 보면 여성요인이 31.3%에 이르는데 반해 남성 요인은 6.2%에 그쳐 여전히 남성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미흡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요인을 제외하면 여성ㆍ남성 요인이 각각 반반에 이른다는 의학적 보고와는 상반된 결과다.
시험관 아기 등 보조생식술 발달이 많은 난임 부부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남성 건강에 대한 진단과 치료, 교정, 자연임신 시도라는 절차들이 생략되면서 난임의 책임이 여성에게 전가되고 임신의 결과에만 집중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통계에 반영 되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남성 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에 대한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남성의 초혼 연령과도 맞물려 있다.
여성의 나이가 많아지면 생식능력이 떨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액 역시 남성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사정량과 운동성, 정자의 수 등이 감소하는데 한국 남성의 초혼 연령은 만 32.8세(2014 통계청)로 1994년 28.6세, 2004년 30.9세에 비해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다.
결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질병, 유해약물,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 부적절한 생활습관 등 정액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노출되는 시간 역시 길어지는 것도 남성이 반드시 임신 전 관리를 받아야 하는 이유로 꼽힌다.
최진호 제일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임신 전 남성관리에 대한 인식이 현저히 떨어지는 상황에서 대다수 남성들이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봐야한다”면서 “임신이 안 돼 병원을 찾은 후에는 이미 건강한 상태로 되돌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위험요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어 “임신 전 남성 관리는 임신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 임신 결과를 좋게 하는 것은 물론 배우자와 자신의 건강을
이번 연구결과는 ‘임신 전 남성관리’라는 제목으로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20권 1호(2016년)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