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아빠들도 체계적인 임신 준비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신 전 관리를 목적으로 병원을 찾은 여성 중 남성 배우자가 함께 상담을 받은 비율은 5쌍 중 1쌍에 불과했다.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난임부부가 늘고 계획 임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예비엄마에게 요구되는 책임에 비해 예비아빠들의 관리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제일의료재단 제일병원(병원장 민응기) 비뇨기과 최진호 교수와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팀이 지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제일병원에서 임신 전 관리를 목적으로 진료한 여성 260명을 분석했다. 이들 중 23.5%(61명)의 배우자만이 임신 전 상담을 위해 비뇨기과를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제일병원은 “임신 성공이라는 결과에 집착해 건강한 임신을 위한 과정이 생략되면서 남성 요인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며 관리를 당부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비뇨기과 진료를 받은 남성들 중에서 2명 중 1명꼴인 45.9%(28명)에서 정액검사 이상 소견이 확인됐다. 비임균성 요도염 원인균 감염은 29.5%(18명), 남성 난임의 주요 원인인 정계정맥류는 18%(11명), 염색체 이상은 1.6%(1명)에서 진단됐다. 연구팀은 “실제 진료를 받은 남성이 소수임을 감안할 때 병원을 찾지 않은 남성으로 범위를 넓힐 경우 건강한 임신을 저해하는 원인을 가진 남성이 훨씬 많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정부가 지난 2013년 발표한 체외수정시술 난임 원인 분석 결과를 보면 여성 요인이 31.3%인데 반해 남성 요인은 6.2%에 그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요인을 제외하면 여성ㆍ남성 요인이 각각 반반에 이른다는 의학적 보고와는 상반된 결과다. 여전히 남성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미흡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시험관 아기 등 보조생식술의 발달이 많은 난임 부부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남성 건강에 대한 진단과 치료, 교정, 자연임신 시도라는 절차들이 생략되면서 난임의 책임이 여성에게 전가되고 임신의 결과에만 집중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통계에 반영 되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 남성의 초혼 연령은 2014년 만 32.8세로 1994년 28.6세, 2004년 30.9세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여성의 나이가 많아지면 생식능력이 떨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남성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사정량과 운동성, 정자의 수 등이 감소한다. 질병, 유해약물,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 부적절한 생활습관 등 정액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노출되는 시간 역시 길어진다.
남성의 임신 전 관리는 주된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 임신계획의 수립 여부 ▲질병력과 수술력 ▲투여약물 ▲가족력과 유전적 위험요소 ▲사회력(작업환경) ▲위험행동 ▲영양섭취 ▲정신건강 ▲신체검사 등 크게 9개 영역에서 이뤄진다. 부부의 경제력과 나이, 연상-연하 등 특수성이 임신 계획에 반영되어야 하고 비만, 당뇨와 같은 질병과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수술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최 교수는 “임신 전 남성관리에 대한 인식이 현저히 떨어지는 상황에서 대다수의 남성들
[신찬옥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