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커지는 상황에서 올해 1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은 0.4%로 작년 4분기(0.7%)에 이어 2분기 연속 0%대에 머물렀다.
이는 미약한 경기 회복세를 반영한 것으로 수출 감소와 소비, 투자 등이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기별 성장률은 2014년 2분기(0.6%)부터 작년 2분기(0.4%)까지 5분기 연속 0%대를 기록했다. 2014년 세월호 참사와 지난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권) 사태 등 예상하지 못한 악재가 터진 데다 세계 경제의 위축으로 수출 부진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후 작년 3분기에 부동산 경기 호조와 정부의 소비 진작책 등으로 성장률이 1.2%로 높아졌다가 작년 4분기부터 지난 1분기까지는 다시 0%대로 내려앉았다.
정부는 이번 주 청년·여성 고용대책과 신산업 지원대책을 내놓는 등 경제 정책에 집중할 예정이다. 그러나 저성장은 세계 경제의 전반적인 위축과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 저하 등 구조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분기 민간소비는 0.3% 감소하면서 작년 4분기(1.4%)에서 급격히 둔화됐다. 작년 하반기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등 소비진작책 효과가 약화됨에 따라 우려된 이른바 ‘소비절벽’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민간소비 증가율 -0.3%는 세월호 사태의 여파를 받은 2014년 2분기(-0.3%) 이후 7분기 만에 최저치다. 메르스 사태의 여파로 소비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었던 작년 2분기(-0.1%)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1분기 성장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데는 수출 부진도 한몫했다. 수출은 1.7% 줄면서 작년 4분기 2.1%에서 마이너스로 바뀌었다. 수출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을 받은 2008년 4분기(-4.3%) 이후 7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를 보면 올해 1∼3월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는 1160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3.1%나 줄었다. 중국 등 세계 경제의 성장세가 약화된 데다 배럴당 40달러를 밑돈 저유가로 수출품의 단가가 낮아진 영향이 크다.
경기 전망이 악화하면서 기업들의 투자도 크게 위축됐다. 1분기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1분기 GDP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0.2% 감소했다. 2014년 4분기(-0.2%)이후 1년 3개월 만에 뒷걸음질한 것이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