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10명 중 4명은 올해 투자 계획을 사실상 세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낮고 소득마저 적다보니 투자할 엄두조차 내지 못한 셈이다.
10일 매일경제신문과 한국경제연구원이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올해 투자를 한다면, 적절한 투자처는 무엇이냐’(중복 응답, 100% 기준 환산)고 묻자 ‘없다’는 답변이 40.9%에 달했다. 부정적인 경제전망과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이어 부동산 27.1%, 주식 16.6%, 채권 9.5% 순이었다. ‘없다’고 답변한 이들을 연령별로 보면 소득이 비교적 높은 40대(30.0%)에서 가장 낮고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19~29세(48.6%)와 60세 이상(45.0%)에서 높았다. V자 그래프를 그린 것이다.
◆미래에 대한 불안 탓에 지갑 닫아
성별로는 여성(45.6%), 직업으로는 무직 기타(56.6%), 학력으로는 고졸(51.0%)에서 없다는 답변이 많았다. 반면 ‘부동산’이라는 응답은 사무직(32.1%)과 대졸이상(30.4%)에서 높았다. 또 주식을 선택한 이들을 학력별로 보면 대학교 재학생이 27.1%로 가장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변양규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정책연구실장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오랫동안 겪고 저금리 시대에 살다보니 주식으로 한 번에 뭘 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이 작용한 듯 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소비를 가장 제약하는 요인을 꼽아달라는 질문에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라는 응답이 37.0%로 가장 높았다. 이어 높은 물가 23.3%, 가계부채 18.6%, 과도한 세금 11.6% 순이었다. 미래에 대한 불안은 국민들로 내핍으로 몰아가고 있다. 한경연이 2006~2013년 7년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가계의 경상소득은 36% 증가한데 반해 소비지출은 22% 늘어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미래에 대한 불안이라고 답한 이들은 50대가 44.2%로 가장 높았다. 반면 물가라는 답변은 20대(35.6%)에서 가장 높았다. 또 소득별로는 월 200만원 이하라고 밝힌 이들 중 물가를 지적한 이들이 30.2%에 달해 미래불안 30.4%과 엇비슷했다. 변 실장은 “기본적으로 전체 물가는 낮지만 먹고사는 것과 직결된 생활물가는 여전히 변동성이 심하다”며 “저소득층과 청년층은 자가용을 모는 경우도 드물어서 저유가에 의한 저물가를 체감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F학점 19대 국회...경제 인식 안이해
우리 경제에 대한 기대심리를 떨어뜨리는 주 원인이 어디에 있냐는 질문에는 44.4%가 국회를 꼽았다. 또 19대 국회에 대한 평가를 A, B, C, D, F 학점으로 해달라는 질문에 응답자 56.6%가 주저 없이 F학점을 부여했다. 이어 D학점 20.9%, C학점 16.4%, B학점 4.1%, A학점 2.0% 순이었다. 평균을 내면 19대 국회는 D에서 F사이인 것이다. 국회에 대한 낮은 평가는 연령을 구분하지 않았다. 30대는 54.4%, 60대 이상은 58.4%가 각각 F라고 답했다.
19대 국회가 우리 경제와 관련해 어떤 점을 가장 잘 못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경제문제에 대한 안이한 인식이 3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경제 양극화 해소 실패라는 응답이 21.0%, 국가 전체 인식 없이 지역구 중심예산 챙기기라는 응답이 19.1%, 복지 중심 포퓰리즘 법안 양산 이라는 답변이 10.1%를 차지했다.
경제 문제에 대한 안이한 인식이라는 답변은 대구 경북 50.8%, 남자 40.3%, 40대 43.4%, 사무직 41.3%, 대졸 이상 42.2%, 월소득 501만원 이상 44.9% 등으로 높았다. 반면 양극화 해소 실패라는 응답은 인천 경기 27.6%, 19~29세 29.5%, 무직 기타 28.1%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19대 국회에서 통과 못한 법 중 차기국회가 최우선으로 통과해야 할 법안을 2개 꼽아달라(중복응답 100% 기준)고 질문하자, 정부재정 개혁 법안이 21.0%로 가장 높은 답변비율을 기록했다. 이어 노동개혁 관련 법안 18.9%, 국회선진화법 개정안 17.3%, 서비스산업 활성화 법안 15.6%, 상속증여세법 개정안이 13.7%, 자본시장법 개정안 4.8% 순이었다. 상당수 국민들이 경제도 어려운데 정부와 국회가
[이상덕 기자 / 정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