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업의 R&D 투자 및 매출액 대비 R&D 투자 추이 단위 억 원, %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2016년 산업계 R&D 투자 및 인력현항에 대한 전망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올해 기업들은 전년대비 5.2% 증가한 약 56조8000억원을 R&D에 투자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 투자증가율 6.7% 대비 1.5%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기업의 미래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로 활용되는 R&D 집중도도 2.89%로 전년도보다 0.06%포인트 감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R&D 집중도는 매출액 대비 R&D 투자규모 비율을 의미한다. 기업의 경영성과 제고와 연관성이 높아 기업의 미래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런 결과는 R&D 투자 및 설비투자 확대를 통해 성장을 추구하던 기업 선순환체계의 변화를 야기하는 흐름으로 해석된다.
중소기업의 경우 전년대비 11.5% 증가한 14조8000억원, 중견기업은 전년대비 4.5% 증가한 3조7000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R&D에서 67.5%를 차지한 대기업의 경우 3% 증가한 38조3000억원의 투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의 R&D 투자 증가율이 대기업, 중견기업보다 높은 것은 2015년 소규모 기업연구소의 설립 증가에 따른 투자 본격화와 창조경제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기업의 연구원 신규채용은 지난해 31만6000명에서 3약 2만6000여명이 증가한 34만2000명 수준이 될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의 연구원 신규채용이 약 1만7000여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각각 6400여명과 2000여명으로 예상된다.
어떤 분야에 내년도 R&D를 집중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기업의 절반은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위한 신기술 개발’을 위해 R&D를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저성장 시기를 타개하기 위한 신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는
산기협 김이환 부회장은 “R&D는 어려운 대내외 환경변화 속에서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단히 중요한 활동”이라며 “단기간의 고도성장 프레임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만큼 신산업창출 지원책 마련과 R&D 투자의 효율성, 생산성 등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