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조달 시장에서 끊임없이 ‘잡음’이 흘러 나오는 것은 그만큼 시장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조달청에 따르면 2014년 공공 조달시장 규모는 총 111조 5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조달청을 통한 ‘중앙조달’ 방식은 30% 가량인 33조 9000억원에 불과하다. 나머지 70% 가량인 77조 6000억원이 공공기관의 직접 조달 시장으로 파악된다.
조달 품목도 클립, 팬티부터 자동차, 전동차까지 수십만 가지가 넘는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 거의 대부분이 공공기관에 공급된다.
특히 조달청이 자체 조달을 위해서 개방한 ‘나라장터’ 시스템을 통해 작년에 계약된 거래금액 총 67조 3000억원 가운데 76.5%인 51조 5255억원이 중소기업 거래실적으로 집계될 정도로 중소기업들의 참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참여 중소기업수만도 7만여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달청 관계자는 “신생 중소기업이 바로 참여할 수 있는 물품·용역 입찰 시장만 해도 중앙부처, 지자체, 공기업 등에서 연간 약 22조원 규모”라며 “신생 중소기업들로서는 놓칠 수 없는 시장인 셈”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앙조달을 뺀 나머지 공공조달의 정확한 실체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어떤 공기업이 어느 물품을 얼마만큼 구매하는 지 국가 전체적인 통계가 없는 셈이다.
다만 작년 기준 조달청을 통한 중앙조달 계약 실적을 들여다보면 국내 전체 조달시장 ‘실체’의 대략적인 단면이 드러난다.
중앙조달 방식 물품·용역계약은 24조원으로 시설계약(12조원)의 약 2배 규모였다. 기관 별로 자신들이 필요한 조달품 가운데 조달청을 통한 중앙조달 이용 실적은 국가기관 71.8%, 지방자치단체 39.4%, 교육기관 38.9% 순이었다. 기관별로는 국방부, 외교부, 행정자치부 등은 중
특히 작년에는 중소기업과 지역업체를 통한 공공 조달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자체 여행상품 개발 등으로 물품·서비스계약에서 중소기업이 80% 수준을 차지한 점도 특징이다. 사회적기업 계약규모 역시 전년보다 약 2배 상승했다.
[이승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