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현종 로보링크 대표가 자체 개발한 ‘코드론’을 시범비행하고 있다 <사진=이충우 기자> |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16)에서 국내 중소기업 로보링크가 개발한 학습용 드론 ‘코드론(codrone)’이 외신들 주목을 받았다. 드론을 구매하면 함께 제공되는 영상 강의를 통해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드론을 움직일 수 있다. 이현종 로보링크 대표는 “소프트웨어 교육과 드론을 움직이는 재미를 합친 ‘에듀테인먼트’형 드론”이라고 소개했다.
CES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코드론을 선보였다. 미국 IT 전문매체 매셔블을 비롯해 경제 전문방송 CNBC 등 주요 매체들이 큰 관심을 갖고 찾아왔다. 미국 크라우드 펀딩사이트 ‘킥스타터’에서 펀딩을 모집하자 CES 기간 3일 만에 목표 금액이었던 5만 달러를 간단히 넘겼다. 1월 29일엔 목표의 3배인 15만 달러를 돌파했다. 이 대표는 “아직 펀딩 마감 기간까지 한 달이나 남아있어 얼마까지 더 모일 지 예측하기도 힘들다”며 “역대 국내 로봇 업체 중 최고 모금액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보링크는 지난 2006년 창업했다. 학습용 로봇을 만들고, 이를 활용한 초·중·고교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주요 비즈니스다. 학생들은 로봇을 스스로 조립하고,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간단한 코딩도 경험해 볼 수 있다. 지난해부터는 정보기술(IT)업계 핫이슈로 부상한 ‘드론’에 이같은 프로그램 학습을 융합해 개발하기 시작했다.
로보링크의 CES 데뷔는 지난해 5월 로봇산업진흥원 ‘로봇시장보급 검증사업’ 참가한 게 계기가 됐다. 6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되며 5억 원의 지원금을 받았고 ‘코드론’ 개발에도 박차를 가했다. 이 대표는 “10년 동안 로봇과 교육을 융합한 콘텐츠 제작으로 한 우물을 파온 게 결실을 맺게 됐다”며 “작년 중국 진출 이후 올 초 미국에서도 성공적 데뷔를 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로보링크는 지난해 8월 중국 국영 로봇기업인 하얼빈 로봇그룹(HRG)와 합작사인 ‘Robolink HRG’를 설립하기도 했다. HRG는 중국 하얼빈공대와 하얼빈 시정부가 201년 1월 공동으로 설립한 회사다.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학습용 로봇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게 목
이 대표는 국내 로봇 업계에 대한 아쉬움도 드러냈다. 그는 “외신에서 먼저 주목을 받고나니 그제야 국내에서도 관심을 갖더라”며 “아직까진 국내 로봇과 드론 업계가 척박한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오찬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