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큰 문제는 마이너스로 반전된 설비투자입니다.
박대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9월 산업생산이 추석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3%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통계청은 조업일수를 조정하면 두 자릿수 증가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 최성욱 / 통계청 산업동향과장
- "전년동월대비로는 추석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2.7일 감소로 0.3% 증가에 그쳤지만 조업일수 조정시 12.5% 증가했습니다."
소비재 판매는 추석연휴 덕분에 음식료품과 의복 등의 판매가 늘면서 8.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문제는 설비투자입니다.
설비투자는 7월과 8월에 1%대로 급락한 데 이어, 9월에는 설비투자를 견인하던 반도체 장비의 투자 부진으로 8.6% 마이너스로 반전됐습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와 앞으로의 경기를 예고하는 지수도 좋지 않았습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대비 마이너스 0.3포인트를 기록했고, 경기선행지수도 상승률이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머물렀습니다.
경제전문가들은 지금 같은 고유가가 이어지면 세계경제의 위축으로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의 산업활동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이근태 /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높은 유가가 상당기간 지속되면 세계 경제 성장에 차질을 빚어, 우리나라도 5%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박대일 기자
- "고유가로 인한 지표경기의 둔화가 예상보다 일찍 나타났다는 점에서 경기회복 기조가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mbn뉴스 박대일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