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된 아동 학대는 개인의 뇌 발달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신체적 학대가 아닌 정서적 학대 경험만으로도 뇌에 평생 상처를 남기는데 이는 뇌 영상 연구 결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분야 전문의인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최지욱(49·여) 교수는 “최신 뇌 영상 도구를 이용해 살펴본 결과 만성적인 부모의 언어적 학대나 가정 폭력 목격 등의 정서적 학대 경험은 뇌 신경 회로 발달에 이상 소견을 보인다”고 28일 말했다.
아동기에 다른 학대 없이 부모의 언어적 학대만을 경험한 젊은 성인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한 최 교수의 2009년 연구 논문에 따르면 언어 학대군은 신경회로 발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언어 표현을 담당하는 영역과 언어 이해를 담당하는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신경 회로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우울 증상이나 불안 증세와 관련 있는 신경회로도 언어 학대에 취약하다는 게 뇌 영상으로 확인된 것으로 전해졌다.
일반적인 뇌 신경 다발이 굵고 단단하게 연결돼 신경 전달이 원활하다면 학대 피해를 입은 성인의 해당 부위는 좁거나 약해져 끊어진 경우도 있다는 설명이다.
최 교수는 “만성적 언어 학대를 당한 피해자의 경우 언어적 지능 저하나 감정조절 문제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2012년 발표한 연구 논문 결과도 곁들여 “가정폭력을 목격하는 것만으로도 시각 정보와 관련한 기억력 신경회로에 영향을 줬다”고 부연했다.
‘언어적 학대’엔 언어 기
최 교수는 “어린 시절에 학대에 노출되면 심리적 발달뿐만 아니라 뇌의 구조적 발달에서도 문제를 일으킨다”며 “부모의 양육 행동이 자녀의 인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