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일 강환구 한국은행 조사국 계량모형부 모형개발팀장 등이 작성한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 추정 결과’ 에 따르면 2015~2018년 잠재성장률은 3.0~3.2%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한은이 새로운 물가안정목표를 발표하면서 공개했던 수치와 동일하다.
잠재성장률은 자본과 노동 등 생산요소를 최대한 사용해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국내총생산 증가율을 말한다.
잠재성장률은 지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4.8~5.2% 대를 유지하다 2010년에는 3.8%까지 하락했다. 이후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3.2~3.4%에 머물러 꾸준히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잠재성장률이 떨어지면서 실제
강 팀장은 “2000년 이후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하락은 인구 고령화 등 사회구조적 변화와 투자 부진, 서비스업 생산성 정체 등 경제구조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기인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