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손등이나 옷감 등에 붙여 열을 낼 수 있는 투명 히터를 개발했다.
울산과기원(UNIST) 신소재공학부 박장웅·김주영 교수 공동 연구진은 ‘메탈릭 글래스’를 기반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투명전극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투명히터를 만들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진은 합금의 일종인 메탈릭 글래스를 이용해 투명저극을 만들었다. 메탈릭 글래스는 일반 금속보다 신축성이 좋고 녹슬지 않아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전기 전도도도 높아 기존 투명전극보다 손쉽게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다. 연구진은 메탈릭 글래스를 기다란 섬유로 뽑아낸 뒤 그물구조로 만들어 투명한 전극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박장웅 교수는 “특히 얇은 전극을 롤에 감아 가공하는 ‘롤투롤’ 방식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며 “공정단가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투명전극으로 자유롭게 변형되면서도 열을 낼 수 있는 투명 히터를 개발했다. 히터는 기존 길이보다 70% 이상 늘어나도 성능저하가 없었다. 또한 손가락에 붙일 수 있는 가스센서를 구현해 위험 가스를 감지하는 실험도 성공했다.
고성능 투명전극은 투명하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요소기술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