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 하락에 민감하고 재정상 취약한 ‘신흥국’발(發) 위기 확대를 꼽았다.
이 총재는 10일 오전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취약 신흥국의 금융·경제불안 확대에 따른 파급효과가 우려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여러 우려 가운데 취약 신흥국의 위기가 개별국가로 전이되는 것이 가장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은은 이날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50%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6개월째 현 수준을 유지하게 됐다. 앞서 한은은 올 3월과 6월 각각 0.25%포인씩 기준금리를 인하한 바 있다.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곧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은 재확인했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은 오래전부터 예상돼 왔고 시장에 상당부분 반영됐다”며 “속도도 완만할 것이기 때문에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도 대응에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우리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되는 가계부채 문제와 관련해서는 억제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 총재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 규제완화 이후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웃돌고 있다”며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대책을 조속히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계부처간 가계부채 대책이 엇갈린다는 지적에는 “부처간 이견으로 비춰질 수 있다”며 말을 아꼈다.
주요국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결정짓는 정례회의를 축소하는 관행에 대한 한은의 입장과 관련해서는 “한은도 횟수를 줄이는 것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다만 “내년에
[매경닷컴 전종헌 기자 /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