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풍부한 광물 자원 개발과 전력 송전 사업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에 김형오 기자입니다.
황해도 연안군 정촌리에 있는 흑연 광산입니다.
지난해 광업진흥공사가 지분 50%를 투자한 곳으로 여기서 생산된 흑연이 이달말 국내에 처음 들어올 예정입니다.
광진공은 이 외에도 황해남도 석회석 광산 등 북한내 주요 광산에 대한 개발을 추진하고 있고, 포스코와 현대자동차 그룹의 현대제철 역시 북한 무연탄 수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이한호 / 광업진흥공사 사장 - "단순히 지하자원을 채광하는 것 이외에도 이러한 자원을 제조해서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분까지 발전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또 지난 2005년 7월 남북경제협력추진위에서 합의한 자원협력 방안도 구체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남측은 다음달(11월)까지 8천만 달러어치의 경공업 원자재를 제공하는 대신 3년내지 5년뒤에 북한의 지하자원을 가져오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전력 사업 협력도 관심을 끕니다.
특히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이 지난 2005년 핵폐기 대가로 제안한 200만kw 전력공급 문제가 어떤 식으로든 다시 거론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북한내 수력 발전소 등의 개보수 문제도 협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터뷰 : 동용승 /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북한의 에너지 문제를 지원해줄 수 있는 것은 단기적으로 북한이 현재 갖고 있는 발전 설비를 개보수해주는 것이 가장 우선시됩니다. 북한의 발전소들의 가동률을 높여주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고요."
장기적으로는 논란이 많은 원자력이나 중유제공보다는 친환경적인 신재생 에너지 시설을 설치해주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 안준관 / 환경운동연합 에너지지원부장 -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이 에너지난을 덜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면 합니다."
<김형오 기자> - "그러나 에너지 시설이나 전력 설비는 북한 반입이 금지된 전략물자로 당장 이번 정상회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mbn뉴스 김형오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