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성장률 1%포인트, 중국 외 국가 0.5%포인트 하락 전제, 자료=한국개발연구원(KDI) |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김성태·정규철 연구위원은 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중국경제 불안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를 펴냈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중국 내부요인에 의해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는 충격이 발생하면, 직·간접적인 경로를 거쳐 한국 경제의 성장률은 0.2~0.6%포인트 가량 둔화된다.
직접적인 경로로는 한국의 대중국 수출 둔화와 중국 현지 투자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가 꼽힌다. 이같은 직접 효과로 한국 경제성장률은 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중국 성장둔화가 아시아 신흥국과 자원수출국, 선진국 전반의 회복세를 약화시키는 간접경로로는 한국 경제성장률을 추가적으로 0.2~0.4%포인트 깎아내릴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산업별로는 항공, 전기·전자기기, 기계, 화학 등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이 중국 경제성장률 1%포인트 하락으로 세계 경제성장률이 0.2%포인트 둔화되는 것을 전제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항공 (-1.38%), 전기·전자기기(-1.13%), 화학(-1.09%) 등 분야의 산업생산이 크게 위축됐다.
중국 내 취약산업으로 분류되는 석유·석탄과 화학, 금속, 건설·기계산업에서 구조조정이 단행되면 한국의 주력산업에 보다 심각한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연구팀은 “해당 산업에서 각각 생산이 10% 축소되는 구조조정이 발생하면 특히 한국의 화학과 섬유, 석탄, 항공, 전기전자 등 대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산업의 부가가치 창출을 큰 폭으로 감소시킨다”며 “이는 중국의 성장률 둔화와 산업별 구조조정 정도에 따라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한국 경제가 중국 경제 경착륙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거시경제의 안정을 유지하고, 금융건전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외부 환경 변화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경제 내부적인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팀은 “대외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
[최승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