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반도체의 대안이 될 신소재, 환경오염 물질의 발생을 사전에 억제하는 기술, 둘둘 말 수 있는 TV나 지갑에 들어가는 컴퓨터를 만드는 유기소재기술, 얼굴에서부터 손바닥의 정맥과 몸의 냄새까지 구별할 수 있는 인체인증기술 등이 2035년 우리의 미래 먹거리가 될 도전기술로 뽑혔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창립 20주년을 맞이해 20년 뒤 한국 경제를 이끌어갈 ‘2035년 대한민국 미래 도전기술 20선’을 선정해 24일 발표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이번 미래 도전기술 선정을 위해 5개 미래사회의 트렌드(성장하는 사회, 스마트한 사회, 건강한 사회, 지속가능한 사회, 스마트한 사회, 안전한 사회)를 설정하고 이에 필요한 산업별 기반기술을 도출했다. 이 기술에 대해 한국공학한림원 회원을 대상으로 한국의 미래 먹거리 기술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해 최종 미래 도전기술 20선을 선정했다.
선정된 기술에는 무인항공기 기술, 포스트실리콘 기술, 디스플레이 기술, 서비스 로봇기술, 유기소재 기술, 미래 자동차 기술, 스마트도시 기술, 입는 기술, 정보통신 네트워크 기술, 데이터 솔루션 기술, 분자진단기술, 사이버 헬스케어 기술, 맞춤형 제약기술, 맞춤형 치료기술, 온실가스저감기술, 원자로 기술, 신재생 에너지 기술, 스마트그리드 기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