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외환시장을 교란한 혐의를 두고 미국·유럽계 글로벌 대형 투자은행(IB)의 담합 여부를 검토중인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대상 IB를 10개사로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6개사였던 조사대상을 확대한 것이어서 IB들의 새로운 담합 혐의를 한국 경쟁당국이 포착해낼지 주목된다.
8일 법조계와 공정위에 따르면, 공정위는 외환시장을 교란한 혐의를 두고 JP모건, 골드만삭스, UBS, 스코틀랜드왕립은행(RBS), 바클레이즈, 씨티 등 6개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온 가운데 모건스탠리, BNP파리바, 크레디트스위스, 스탠다드차타드 등 4곳에 대해서도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6개사에 대한 집중조사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다른 외국계 IB까지 조사대상을 늘린 것이다. 공정위는 각 업체에 조사착수 공문을 송부했다.
이번 사건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6개 IB에 소속된 외환 트레이더들이 이른바 ‘채팅방 담합’ 혐의 조사 과정에서 조사대상을 대폭 늘린 것”이라며 “공정위가 기존에 알려진 담합사건이 아닌 새 담합 혐의를 포착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고 설명했다.
미국 법무부는 이미 해당 IB에 벌금 수십억달러를 올해 초 부과한 바 있다. 미국 법무부에 바클레이즈 6억5000만달러를, JP모건은 5억5000만달러를, 씨티는 9억2500만달러를 내야 하는 등 총 벌금액이 56억달러에 달했다. IB들이 매수·매도 시점과 거래가격 등을 미리 짬짜미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환율을 만드는 수법을 쓴 것으로 나타나자 한국 공정위는 동일 사건에 대해 지난달 조사에 착수했다.
다만 한국 공정위가 조사에 착수하기 직전 이미 IB 두곳이 리니언시(담합 자진신고)를 해 IB들은 한국 경쟁당국에서 담합이 사실로 확
[김유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