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땅콩 회항’ 사건으로 물의를 빚었던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향후 경영에 복귀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조 회장은 16일(현지시간) 파리 에어쇼가 열리는 프랑스 르부르제 공항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회항 사건 이후 세 자녀의 역할 변화를 묻는 질문에 “덮어놓고 (기업을) 넘기지 않겠다”면서도 “세 명의 각자 역할과 전문성을 최대로 살리겠다”고 말했다. 조 회장은 장녀인 조현아 전 부사장, 장남 조원태 대한항공 부사장·한진칼 대표이사, 차녀 조현민 대한항공 전무 등 세 자녀를 두고 있다.
조 회장은 당초 “여기(항공기 구매 계약 현장)서 얘기할 사항이 아니다. 다 끝난 것이 아니고 할 얘기도 많으니...”라고 말을 아꼈으나 질문이 거듭되자 “덮어놓고 다음 세대에 (기업을) 넘겨주는 것이 아니라 능력이 있어야 물려준다. 세 명이 각자 전문성이 있으니 전문성을 최대로 살리겠다”고 답했다. 조 회장은 사회적 비판을 의식한 듯 “눈물을 흘려보고 찬밥도 먹어보고 고생도 해보고 자기가 하고 싶은 분야의 전문성을 갖고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조원태 부사장이 이날 항공기 도입 계약 체결식에 참석한 의미에 대해 “비행기에는 마케팅, 정비 등 여러 측면이 있다”며 “훈련을 시키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부사장은 이날 조 회장과 함께 르부르제 공항에서 에어버스와 보잉으로부터 13조원 규모 항공기 102대를 신규 도입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조현아 전 부사장은 지난해 12월 미국 뉴욕 JFK 국제공항에서 견과류 서비스를 문제 삼아 타고 있던 대한항공 KE086을 램프리턴(항공기를 탑승 게이트로 되돌리는 일)하도록 지시하고 사무장을
조 회장은 회항 사건 전후 달라진 점에 대해 “‘소통 광장’을 만들어 직원이 원하는 바를 듣고 경직된 것을 뚫어주고 고쳐주라고 했다”고 소개했다.
[이호승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