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동결, 연 1.75% 수준…이유 살펴보니? '일단 지켜보자'
![]() |
↑ 기준금리 동결/사진=MBN |
두 달째 동결…'경기 회복 흐름 지켜보자' 판단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현재의 연 1.75% 수준으로 동결됐습니다.
한은은 15일 오전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한은은 작년 8월과 10월, 올 3월 등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모두 0.75%포인트 내린 이후 2개월째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이번 동결 결정은 지난 3월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이후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가격이 상승하고 소비가 살아날 조짐을 보이는 등 미약한 경기개선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어 좀 더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말 경제동향간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 경제에 미약하지만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올 2분기의 경기 흐름이 앞으로 회복세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4월 한 달간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사상 최대규모인 8조5천억원이나 늘어나는 등 급증하는 가계부채도 기준금리 인하의 발목을 잡는 변수입니다.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면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부채의 폭증세를 걷잡을 수 없어 추후 금융시장의 위기를 촉발할 '뇌관'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은의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예상했던 결과지만 앞으로 소비와 투자, 수출 등의 지표가 부진한 모습이 지속된다면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시 고개를 들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개선 조짐에도 불구하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4일 한국의 성장 모멘텀이 정체됐다고 지적하고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1%로 낮추면서 통화·재정을 활용한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