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농업용지가 들어설 동진 5공구. 매립작업이 한창인 이곳은 새만금에 들어설 7개 농업용지 중 가장 먼저 착공한 곳이다. 새만금에 계획된 7개의 농업용지 가운데 가장 먼저 ‘첫삽’을 뜬 이곳을 농산물 수출의 메카로 삼겠다는 게 정부 포부다. 새만금이 농산물 수출 단지의 중심지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풍부한 건 무엇보다 지리적인 이점 때문이다. 군산공항을 기점으로 베이징과 상하이 등 중국 대도시가 대거 포진해 있다. 인근 지역에 인구 100만명이 넘는 도시가 60곳이 넘고, 500만명 이상은 10곳에 달한다.
김병률 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인들은 유기농 쌀이라고 해도 중국산은 믿지 않지만 한국에서 들여온 유기농 쌀은 달리 본다”며 “한국산 우유와 유제품도 반응이 폭발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새만금을 농산물 수출의 중심지로 만든다는 야심찬 포부와 달리 새만금은 각종 난관에 허둥대 왔다. 대규모 영농에 대한 농민들의 반대 여론 탓에 이미 동부팜한농은 사업을 접었고, 새만금에 속한 지자체 간의 갈등 등 내부적인 문제도 있다. 새만금을 둘러싼 건설사들의 입찰담합 비리까지 거쳤다. 훌륭한 입지 조건을 갖춘 새만금은 이제 내부 문제를 벗어나야 한다.
새만금을 친환경 유기농 단지로 조성해야 하는 이유는 주요 국가와의 무역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다는 외부 요인이 크다. 작년에만 중국, 베트남, 뉴질랜드와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됐고 올해 안으로 일본과 미국이 참여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타결될 전망이다. 한국의 최대 수출대상국인 중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등과의 글로벌 무역장벽이 사라지고 있는 와중에 내부적 요인에 좌절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새만금은 최적의 대중국 농산물 전진기지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에 비해 한국 농산물은 가격경쟁력에서는 밀리지만 품질면에서는 중국인들의 신뢰도가 높다.
이를 위해서는 새만금에 첨단 정보기술(IT) 및 바이오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농장을 조성하고, 고부가가치 농산물 생산을 위한 투자 유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온실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생산한 고품질 특용작물, 버섯, 원예 등은 부상하는 중국의 유기농 농산물 수요를 충족시켜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유기농 농산물 소비 트렌드에도 부합될 수 있다.
새만금 친환경 유기농 단지는 적지 않은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1차산업 종사자는 1970년대 548만명에 달했지만, 2014년 현재 145만명으로 축소됐다. 전체 취업자 중 1차산업 종사자 비중은 1963년 63.0%에 달했으나, 2014년 현재 5.7%에 불과하다. 고부가가치 농산물을 생산하는 스마트 농장은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의 재취업과 연계될 수 있다. 더욱이 첨단기술이 접목된 농장은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이렇게 유발된 고용은 소비여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새만금에 조성 중인 농업용지 면적은 약 8570㏊로, 평균 농가 1가구당 6㏊의 농업용지를 제공한다고 가정했을 때 1428가구의 귀농가구 혹은 기존 농가를 수용할 수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6㏊ 수준의 쌀 전업농 농가소득은 2014년 6309만원이었다. 특용작물 및 친환경 유기농 작물을 재배할 경우 더 높은 소득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새만금에 친환경 유기농 단지를 조성하여 유입된 농가 소득이 소비로 연결된다면 1년에 최소 901억원의 내수 진작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친환경 유기농 단지 조성은 새만금을 새로운 주거공간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통계청은 2010년 이후로 1만가구 이상의 귀농가구가 꾸준히 발생하는 것으로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