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6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베트남 IPv6의 날(Vietnam IPv6 Day) 2015’에서 한국 대표 발표자로 참석해 차세대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의 상용화 사례를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베트남 정부가 직접 주관하는 행사로 베트남의 통신사업자들과 장비제조업체들이 참석한 가운데 ‘IPv6’를 국가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개최됐다. SK텔레콤의 이번 발표는 베트남 정부로부터 ‘IPv6’의 상용화 대표 사례 전달을 부탁 받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SK텔레콤은 행사에서 ‘IPv6’를 LTE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발한 기술과 노하우를 발표하며 ‘IPv6’ 생태계 조성에 주력했다고 밝혔다.
‘IPv6’는 현재의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v4’가 생성 가능한 43억개(2의 32제곱)의 주소를 대부분 사용해 한계에 돌입한 상황을 해소할 수 있는 차세대 인터넷 주소 체계다. ‘IPv6’가 만들 수 있는 주소는 2의 128제곱개로 사실상 무한대에 가깝다.
특히 다가오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에는 사물마다 IP주소를 부여해 사물과 인터넷을 연결해야 하는 만큼 필요한 IP주소의 확충을 위해서도 ‘IPv6’의 도입은 필수적으로 평가 받고 있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3월10일과 11일 양일간에 걸쳐 파리에서 열린 ‘IPv6 월드 콩그레스(IPv6 World Cong
[매경닷컴 고득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