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었던 소비 심리가 두 달 연속 소폭이나마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보다는 지출이 늘어날 것이란 판단이 반영된 결과라 소비 심리가 풀리기 시작했다고 보기에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월 소비자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3로 전월보다 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작년 12월 101까지 떨어졌던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달 102로 반등하고서 두 달 연속 올랐습니다.
그러나 상승 폭이 크지 않아 여전히 세월호 참사 여파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지난해 5월(105)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2003∼2013년 장기 평균치를 기준(100)으로 삼아 이보다 수치가 크면 소비 심리가 과거 평균보다는 낙관적이고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입니다.
소비 심리가 개선됐지만 이를 좋게 볼 수만은 없습니다.
경기 판단보다는 지출 전망이 소비자심리지수를 끌어올린 동인이기 때문입니다.
새 학기를 앞두고 교육비 증가를 전망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소비지출전망CSI(109)가 전월보다 2포인트 올랐습니다. 생활형편전망(98)과 가계수입전망CSI(102)는 각각 전월보다 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소비자들은 현재 경기와 6개월 후 경기 상황을 여전히 어둡게 보고 있습니다. 현재경기판단(71)과 향후경기전망CSI(87)은 지난달보다 3포
소비자들은 국제유가 하락 또한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가 하락으로 소비자물가가 작년 12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0%대 상승률을 보였는데 물가수준전망CSI(132)는 2포인트 올랐습니다.
이번 조사는 이달 9∼16일 전국 2천11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