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전문용어의 남발과 부실한 내용의 사용설명서에 국내 소비자의 상당수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TC협회와 한샘EUG가 설문조사업체 오픈서베이와 함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제품 사용 설명서 인식 및 활용도'에 대한 공동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소비자의 58.1%는 제품 사용설명서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제품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상당히 많은 소비자(77.9%)가 사용전 설명서를 확인하고 있지만 이들 소비자들 가운데 상당수는 사용 중에 다시 설명서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중 설명서를 확인한다는 비율은 86.7%로 사용전 확인 비율보다 오히려 높았다. 그 이유로는 '사용하다 궁금한 사항 발생(39%)', '새로운 기능의 사용법을 몰라서(31.9%)', '사용 중 고장인 듯한 현상(16%)'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용설명서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는 충분하지만, 사용설명서가 어렵거나 부실해 두번 세번 살펴봐야 하는 것은 물론 결과적으로 만족도도 낮았다. 사용 설명서가 불편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58.1%에 달했는데, 충분한 설명이 부족해 이해가 어렵거나(54.6%), 원하는 정보를 찾기 힘들거나(11.9%) 글씨가 작아 읽기 어려운 것(11.9%)도 사용 설명서가 불편한 이유로 꼽았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한국TC협회는 "소비자가 제품 사용 설명서에 불편을 느끼는 것은, 그 동안 국내 매뉴얼 제작이 소비자 관점에 기반하기 보다는 개발자(제작사)의 관점에서 작성해 전문 용어 사용들이 걸러지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흥미로운 다른 결과도 있었다. 모바일 시대가 도래했지만, 60.9%의 소비자가 모바일이나 인터넷 기반의 웹 설명서나 앱 설명서보다는 종이나 책자 형태의 설명서를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품을 사용하면서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조사를 진행한 한샘EUG는 제품 매뉴얼을 개발하고 이를 각국 언어로 서
[박인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