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명칭 변경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인 포항 호미곶면. 이곳에는 연말이면 일출을 맞이하러 온 인파로 북적인다. <매경DB> |
최근 지자체들이 지역특성을 살리거나 주민들의 빗발치는 요구를 수용해 행정구역 및 시설물의 명칭 변경에 열을 올리고 있다.
경북 울진군은 금강송 군락지로 유명한 서면을 ‘금강송면’으로, 매화나무 단지가 있는 원남면을 ‘매화면’으로 변경 추진 중이다.
울진군은 “주민 찬반의견을 조사한 결과 찬성이 각각 96%와 72%로 나왔다”며 “내년 2월 조례를 개정해 3월에 변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령군도 대가야 도읍지였다는 사실을 널리 알릴 목적으로 고령읍을 ‘대가야읍’으로 개명할 예정이다. 고령군도 변경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83%의 높은 찬성률을 기록했으며, 내년 4월 변경할 계획이다.
이처럼 지명과 시설물 명칭 변경을 하려는 이유는 이미지 개선과 매출증대 때문이다.
포항시는 대보면이 한반도 호랑이 꼬리 부분이라며 지난 2010년 ‘호미곶면’으로 바꿨다. 이후 매년 수만명의 해맞이 관광객이 몰리며, 짭짭한 관광수입을 올리고 있다.
울진원전과 영광원전은 지역 이미지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주민 요구사항을 수용해 지난해 ‘한울원전’과 ‘한빛원전’으로 조정했다.
한편, 주민 여론은 “역사성을 지닌 명칭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과 “명칭 변경을 통해 지역 이미지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나뉘고 있다.
실제로 행정구역 명칭을 놓고 지자체 간 분쟁 사례도 다수다.
경북 영주시 단산(丹山)면의 경우 본뜻과는 달리 ‘출산이 끊긴다’는 부정적 이미지 때문에 지역을 상징하는 ‘소백산면’으로 변경을 추진했으나, 충북 단양군이 양 시·군에 걸쳐있는 소백산을 특정지역의 행정구역 명칭 사용에 반대, 분쟁조정을 신청했다. 이후 2012년 6월 사용을 중지하라는 법원의 인용결정 판결을 받은 바 있다.
영주시는 2012년 7월 ‘소백산면 명칭사용 금지’에 대해 대법원에 취소소송을 진행 중이다.
한편, 광주 서구는 친일파인 ‘김백일’의 이름을 딴 도로명(광주시 서구 화정 4동 백일지구, 451가구, 1261명이 관련 도로명 주소 사용)과 학교, 어린이공원 등 명칭이 다수 사용돼 지명변경을 지난달부
김백일은 독립군 토벌을 위해 창설된 간도 특설대의 핵심간부(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였으나, 광복 후에는 육군보병학교장·군단장으로 6.25당시 공적을 남겼다.
이에 광주시는 도로명과 각종 시설물의 이름에서 ‘백일’을 지우는 절차에 착수해 주민들의 동의를 거쳐 명칭을 변경해 나갈 계획이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